'수당이나 연말 정산 등으로 돈이 생겼다. 그런데 이걸 어디다 둬?'
'비상금은 언제 쓸지 몰라서 적금에 넣긴 좀 그런데...'
'한두 달 뒤에 쓸 돈을 챙겨뒀는데, 잠깐이라도 이자를 받을 순 없을까?'
이런 경우에 딱 적합한 게 바로 '파킹통장'이다.
은행에서 상품명을 파킹통장이라고 하는 건 아니고..
차를 잠깐 주차해놓는 것처럼 돈을 잠깐만 넣어놔도 이자를 주는 자유입출금식 예금통장을 통칭해서 '파킹통장'이라고 한다.
왜 하루만 넣어놔도 이자를 주는 CMA통장은 많이 들어보지 않았나.
그 CMA통장과 비슷한데 원금보장이 되고 예금자 보호가 되는 게 바로 '파킹통장'이다.
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이후로 다른 은행에서도 나도 있어 나도! 라면서 출시를 시작한 것 같은데
우리는 소비자의 입장이니까 시중에 나와있는 상품 중에서 골라 쓰면 된다.
제1 금융권과 제2 금융권의 파킹통장 금리를 비교하고 알아보자.
제1 금융권 파킹통장
1) 카카오뱅크 '세이프박스'
금리 : 연 0.5%
금액 한도 : 최대 1천만 원
가입대상 :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
세이프박스가 처음 출범했을 때만 해도 연 1% 이자였던 것 같은데.. 아쉽게도 지금은 0.5%까지 낮아졌다.
굉장히 직관적이고 손쉬운 UI로 간편하게 예비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는 게 큰 특징이었다. (과거)
지금은 다른 은행 어플들도 힘을 내고 있고 금리도 더 높아서 그렇게 메리트는 없는 것 같다.
2) 케이뱅크 '플러스박스'
금리 : 연 0.7%
금액 한도 : 최대 1억 원
가입대상 : 케이뱅크 입출금 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
온라인 은행으로 카카오뱅크를 무섭게 추격하는 케이뱅크이다. 참고로 내 주거래은행이기도 하다.
적금 만기로 적절한 예금을 찾아다니던 중에 월급 통장까지 옮기면 주거래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어서 싹 갈아탔었다.
플러스박스는 금리 0.7%로 카카오뱅크보다는 0.2%가 높지만 1% 대도 있는 상황이라 그렇게 좋은 건지 모를 수 있는데, 사실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는 해당 금리를 받기 위해서 따로 조건이 없는 게 큰 메리트이자 특징이다.
그럼 다른 은행은 우대금리 조건이 있나요?
네. 밑에서 알아봅시다.
3) 우리은행 '마이 WON 포켓'
금리 : 최대 연 1.0% (단, 기본 금리 연 0.1% + 우대금리 최대 연 0.9%)
※ 우대금리 : ① 금액 구간별 우대금리 - 최대 연 0.8% ②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 - 연 0.1%
금액 한도 : 최대 1천만 원
가입대상 : 실명의 개인 (1인 1 계좌)
유의 : 비대면 전용 상품
최대 금리가 연 1%죠? 이 정도면 뭐 앵간한 1 금융권 예금 수준이라서 우대금리 조건이 따로 있다.
정리하자면 파킹통장에 5백만원 초과 1천만원 이하 금액을 넣어두고 우리은행 마케팅 동의를 하면 최대 연 1% 금리를 받을 수 있다. 5백만 원이 되지 않고 1백만 원만 넘어도 최대 0.8%니까 고민해볼 만하다. 마케팅 동의가 그렇게 어려운 조건은 아니니까.
4) 농협은행 '주머니통장'
금리 : 최대 연 1.5% 이내 (단, 기본 금리는 각 농. 축협 별로 상이 + 우대금리 = 최대 연 1.5% 이내)
※ 우대금리 : 각 목표금액(평잔액) 달성 시, 금액에 따라 우대금리 제공
금액 한도 : 제한 없음 (근데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건 최대 500만 원까지임)
가입대상 : 실명의 개인 (1인 1 계좌)
유의 : 스마트폰 가입 전용
목표금액이니 뭐니 해서 복잡할 수 있는데,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.
일단 해당 상품을 스마트폰으로 가입해서 계좌를 만든다. (주머니통장은 계좌번호가 나오는 상품임) 이때 기본금리는 각 영업점마다 상이하다. 영업점별 금리는 주머니 통장 상품설명 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다.
그리고 주머니통장에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목표금액인 500만 원을 넣어두자. (이자 기준일까지)
그러면 이자 계산 기준일인 3월, 6월, 9월, 12월 넷째 토요일로 부터 이전까지의 일별 잔액이 500만 원이 되기 때문에 기본금리 + 우대금리 해서 최대 1.5% 이내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.
복잡하게 써놔서 그렇지 그냥 금액별로 우대금리가 상이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.
이외에도 1 금융권 파킹통장 (신한은행 Hey Young 머니박스, 신협 드리밍박스..등등)이 있긴 했는데, 소개할 만큼 메리트가 없는 것 같아서 패스했다. 혹시 주거래은행이 신한이거나 신협이라면 한번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.
제2 금융권 파킹통장
1) 상상인 저축은행 '뱅뱅뱅 보통예금'
금리 : 연 1.5%
금액 한도 : 제한 없음
가입대상 : 만 19세 이상 내국인, 개인고객
2) SBI저축은행 '사이다 입출금통장'
금리 : 연 1.3%
금액 한도 : 제한 없음
가입대상 : 개인 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만 17세 이상 내국인)
3) 애큐온저축은행 '모바일자유예금'
금리 : 최대 연 1.7% (기본금리 1.5% + 우대금리 최대 0.2%)
※ 우대금리 : ① 모바일뱅킹 가입 - 연 0.1% ② 애큐온 멤버십플러스 동의 - 연 0.1%
금액 한도 : 제한 없음
가입대상 : 개인 (1인 1 계좌)
제2 금융권에서는 위의 3개 상품만 골라봤다.
둘 다 우대금리 따로 없이 연 1.3%, 1.5%, 최대 1.7% 금리를 주는 파킹통장이다.
웰컴저축은행 'Welcome 비대면 보통예금'도 연 1.5% 금리를 주긴 하는데 5천만원 초과금액은 0.5%를 적용하는 게 조금 다르다. 마찬가지로 웹컴저축은행 '직장인 보통예금'은 최대 연 2% 금리지만 우대금리 조건을 맞추려면 아예 주거래를 옮겨야 해서 제외했다.
계좌가 있는 은행에 파킹통장 상품이 없거나, 있더라도 우대금리 조건이 너무 힘들거나 더 많은 금리를 원한다면 상기 2 금융권 상품들 중에 금리가 가장 높은 1.7% 애큐온모바일자유예금을 파킹통장으로 사용하는 게 어떨까?
상기 상품들은 모두 예금자보호가 되니까 (이자 포함해서) 5천만 원까지는 안심하고 넣을 수 있다.
★추가!!
이 게시글을 쓰고 괜찮은 적금이 있는지 찾던 중에 페퍼저축은행에서 금리 2%짜리 파킹통장을 판매하고 있어서 추가해본다.
4) 페퍼저축은행 '페퍼룰루 파킹통장'
금리 : 연 2%(단, 3백만원 이하 2.0%, 3백만원 초과 1.5% 구간별 적용)
금액 한도 : 2억원
가입대상 :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한 개인고객에 한정(1인 1 계좌)
3백만원까지긴 하지만 별도의 조건없이 금리 2%의 파킹통장이다.
기사에 따르면 페퍼저축은행이 신사옥으로 옮기는 김에 금리 2%의 파킹통장과 5%의 적금을 판매한다고 했다.
신사옥으로 옮겼는지 어쨌는지는 상관없고, 괜찮은 금리의 상품이 생겼으니 아무튼 우리한테는 잘된 일이다.
궁금할 것같아서 5%짜리 적금도 정보를 가지고 왔다.
가입금액은 30만원까지고 1년짜리다. 기본 금리가 3.5%에 우대금리가 1.5% 해서 총 5%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우대금리 조건이 두개인데, 자동이체와 마케팅 수신동의라서 비교적 간단하다.
혹시 지금 금리 높은 적금을 찾고 있다면 가입할만 하다. 예금자보호도 되니까!
총 정리 (페퍼저축은행도 추가!)
구분 | 은행 | 상품명 | 금리 (21.02기준) |
우대금리 조건 | 금액한도 | 예금자 보호 |
1금융권 | 카카오뱅크 | 세이프박스 | 연 0.5% | 우대금리 X | 1천만원 | O |
1금융권 | 케이뱅크 | 플러스박스 | 연 0.7% | 우대금리X | 1억원 | O |
1금융권 | 우리은행 | 마이WON포켓 | 최대 연 1.0% (기본 0.1% + 우대 0.9%) |
1) 금액구간별 우대금리 (최대 연 0.8%) 2) 상품서비스마케팅 동의 (연 0.1%) |
1천만원 | O |
1금융권 | 농협은행 | 주머니통장 | 최대 연 1.5% 이내 (기본은 영업점 별로 상이 + 우대 = 최대 1.5% 이내) |
각 목표금액(편잔액) 달성시, 금액에 따라 우대금리 제공 | 제한없음 (단,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건 최대 5백만원 까지) |
O |
2금융권 | 상상인 저축은행 | 뱅뱅뱅 보통예금 | 연 1.5% | 우대금리 X | 제한없음 | O |
2금융권 | SBI저축은행 | 사이다 입출금통장 | 연 1.3% | 우대금리 X | 제한없음 | O |
2금융권 | 애큐온저축은행 | 모바일자유예금 | 최대 연 1.7% (기본 1.5% + 우대 0.2%) |
1) 모바일뱅킹 가입 (연 0.1%) 2) 애큐온 멤버십 플러스 동의 (연 0.1%) |
제한없음 | O |
2금융권 | 페퍼저축은행 | 페퍼룰루 파킹통장 | 연 2% (3백만원 이하 2.0%, 3백만원 초과 1.5% 구간별 적용) |
우대금리 X | 2억원 (단, 3백만원 초과시 금리 1.5% 적용) |
O |
위에서 살펴본 파킹통장을 모두 한 번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내 생각에는.. 제로금리 시대에 파킹통장만을 위해서 2 금융권 계좌를 만들기 싫은 경우 OR 케이뱅크 계좌가 있다면 케이뱅크를 추천한다. 우리은행이나 농협은행 파킹통장이 금리는 조금 더 높지만 거치되어야 하는 금액과 기한 조건을 채워야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. 즉, 입출금이 자유롭다는 파킹통장의 강점이 없다.
어차피 예금자보호도 되고 2금융권 계좌를 개설하는 게 귀찮지 않다면 애큐온 저축은행을 추천한다. 금리가 1.7%이고 우대금리 조건도 쉽기 때문이다.
(추가) 저축은행 계좌를 뚫을거라면 이번엔 페퍼저축은행에 계좌를 개설해서 파킹통장도 쓰고 적금도 드는걸 추천한다~!
사실 어느 파킹통장을 하건 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중간중간 금리를 확인하는 일이다.... 은행 놈들이 자꾸 슬금슬금 금리를 내려서.. 떼잉! (보고 있나 카뱅...)
아무튼 개개인에 맞는 선택을 하길 바라며
오늘도 이만.
'- 돈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혜택 및 실제 후기 (추천인 코드 : GGXXZ41등은나야나) (0) | 2021.03.19 |
---|---|
페이코인 추천인! 페이코인 가입하고 구매하는법 (2) | 2021.02.18 |
재테크 첫시작 "돈을 모으는 방법" (=뻔한 소리 대잔치) (2) | 2021.02.04 |
주식,ETF 관련 정보 어떻게 아는거야?(주식유튜브, 네이버증권, 세이브로) (0) | 2021.01.29 |
직장인 재테크 ETF로 시작 (ETF가 뭔지, 직장인에게 왜 적합한지) (0) | 2021.01.28 |
댓글